C9200L 스위치를 운영하다가 갑작스럽게 포트가 err-disabled로 status가 변경되는 현상이 발생했는데요.
발생한 원인과 해결 과정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.
아래 그림과 같이 Gi1/0/11 포트가 err-disabled로 바뀌면서 사용자 인터넷이 끊어졌습니다.
sh int status
로그를 확인해 보니까 link-flap error 로 스위치에서 err-disabled 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요.
sh log
바로 스위치에 errdisble detect 설정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확인해 봤습니다.
sh errdisable detect
link-flap이 역시나 Enabled 되어있었습니다.
link-flap으로 인해서 err-disabled 된 포트가 자동으로 원상복구 되는 설정이 있는지 확인해 보았습니다.
sh errdisable recovery
Timer Status가 Disabled 되어있네요. 이 상태면 err-disabled에서 관리자가 포트를 죽였다 살리지 않는 이상 스스로 복구되지 않습니다.
그렇다면 link-flap 이 덜 발생하도록 설정을 변경해 보겠습니다.
우선 현재 설정을 확인해야겠습니다.
sh errdisable flap-values
10초 동안 Flap이 5번 발생하면 detect 되게 되어있네요.
10초에 Flap을 10번으로 바꾸도록 하겠습니다.
conf t
errdisable flap-setting cause link-flap max-flaps 10 time 10
end
wr
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설정대로 바뀌게 됩니다.
이제는 link-flap으로 포트가 err-disabled 되었을 때 30초 후에 자동으로 복구하는 설정을 넣겠습니다.
conf t
errdisable recovery cause link-flap
errdisable recovery interval 30
end
wr
앞으로는 link-flap이 발생할 일이 거의 없어지고
포트가 err-disabled 되어도 관리자가 따로 포트를 풀어주지 않아도 알아서 복구가 되겠습니다.
그렇다면 왜 link-flap이 발생하는 것일까요?
1. 케이블 불량 (sh int 명령어로 포트의 CRC 에러를 확인해 봅시다.)
2. 패치 구간 불량
3. 이기종 장비 간 Auto nego가 잘 안되어 있을 경우
4. 포트 자체 불량
위 네 가지 이유가 대표적인데요.
이상으로 Cisco 스위치 link-flap error detected 발생 이유와 조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'컴퓨터 (Computer) > 네트워크 잘 아는 능력자 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HCP에 대해서 알아보자! (0) | 2021.06.18 |
---|---|
NAT 와 PAT 의 동작 방식과 차이점 (0) | 2021.06.17 |
ARP 에 대해서 알아보자! (0) | 2021.06.14 |
OSI 7 계층(Layer) 에 대해 알아보자! (0) | 2021.06.10 |
알아두면 쓸모가 있을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기초! (2) | 2021.05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