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오늘은 네트워크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OSI 7 Laye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!
OSI 7 Layer는 국제표준화기구(ISO)가 1977년에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입니다. 통신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모든 과정을 7단계로 구분하여 정의한 통신 규약으로 현재 다른 모든 통신 규약의 지침이 되고 있는데요. 이 7 계층의 통신 규약 군에 대해 각 계층별로 설명, 정의한 것이 OSI 기본 참조 모델이랍니다.
그럼 이제 7가지 계청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볼까요?
physical layer 물리 계층(1계층) |
물리적 통신 매체를 통하여 전달되는 구조화되지 않은 비트 스트림(bit stream)의 전송을 책임지며, 통신 매체를 접근하는 데 필요한 기계적이고 전기적인 기능과 절차 등을 규정한다. |
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(2계층) |
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능적이고 절차적인 수단을 제공하고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검출 및 수정을 담당한다. |
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(3계층) |
통신 시스템 간의 경로를 선택하는 경로 선택(routing) 기능, 통신 트래픽(traffic)의 흐름을 제어하는 흐름 제어(flow control) 기능, 데이터 통신중에 패킷의 분실로 재전송 요청을 할 수 있는 오류 제어(error control) 기능 등을 수행한다. |
transport layer 전송 계층(4계층) |
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을 연결하는 교량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, 정보 통신 단말 간의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고 신뢰성이 있으며 저가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. |
session layer 세션 계층(5계층) |
다양한 응용 시스템 구축시 상위 계층에서 필요로 하는 공통의 전송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, 상위 계층의 개체 간 대화(dialogue)를 맞추고 데이터 교환을 관리하는 논리적 연결(logical connection)을 확립하고 관리한다.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세션 계층은 상위 계층에서 세션 연결(session connection)을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. |
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(6계층) |
응용 계층 간에 교환되는 데이터 표현의 독립성을 부여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.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표현 계층에서 지원하는 대표적인 기능은 송신측 컴퓨터 내부에서 사용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인코딩(encoding)한 후 수신측 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디코딩(decoding)하는 것이며, 이외에도 암호화(data encryption), 데이터 압축(data compression), 네트워크의 안정성 보장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. |
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(7계층) |
사용자가 직접 접하게 되는 계층이며 사용자는 하위 계층에 대한 자세한 지식 없이도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. 응용 계층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다른 계층과는 달리 수많은 서비스가 존재한다. |
출처 : [네이버 지식백과] OSI 참조 모델 [open system interconnections reference model] (컴퓨터 인터넷 IT용어 대사전, 2011. 1. 20., 전산용어사전편찬위원회)
각 계층 별 장비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합시다!
그렇다면 이 7계층에서 통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걸까요? 아래 그림을 보시면 조금 더 이해가 잘 되실 거예요.
그림의 내용은 왼쪽 컴퓨터에서 데이터가 Encapsul화 되어 오른쪽 컴퓨터로 파일이 Decapsul화 되어 전달되는 과정입니다.
이 모든 많은 동작 과정이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발생한다고 생각하니 정말 신기하죠?
사용할 때는 신경조차 쓰지 않는 부분이지만 알고 보니 참 네트워크는 어렵고 배울게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.
오늘은 OSI 7 계층(Layer)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.
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내용 업로드 하도록 하겠습니다~~
728x90
반응형
LIST
'컴퓨터 (Computer) > 네트워크 잘 아는 능력자 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isco 스위치 link-flap error detected 발생 이유와 조치! (0) | 2021.06.23 |
---|---|
DHCP에 대해서 알아보자! (0) | 2021.06.18 |
NAT 와 PAT 의 동작 방식과 차이점 (0) | 2021.06.17 |
ARP 에 대해서 알아보자! (0) | 2021.06.14 |
알아두면 쓸모가 있을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기초! (2) | 2021.05.26 |